주택임대차법

제6조의3(계약갱신 요구 등)
③ 갱신되는 임대차는 전 임대차와 동일한 조건으로 다시 계약된 것으로 본다. 다만, 차임과 보증금은 제7조의 범위에서 증감할 수 있다.


제7조(차임 등의 증감청구권) ① 당사자는 약정한 차임이나 보증금이 임차주택에 관한 조세, 공과금, 그 밖의 부담의 증감이나 경제사정의 변동으로 인하여 적절하지 아니하게 된 때에는 장래에 대하여 그 증감을 청구할 수 있다. 이 경우 증액청구는 임대차계약 또는 약정한 차임이나 보증금의 증액이 있은 후 1년 이내에는 하지 못한다. <개정 2020. 7. 31.>
② 제1항에 따른 증액청구는 약정한 차임이나 보증금의 20분의 1의 금액을 초과하지 못한다. 다만,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 및 특별자치도는 관할 구역 내의 지역별 임대차 시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본문의 범위에서 증액청구의 상한을 조례로 달리 정할 수 있다. <신설 2020. 7. 31.>
[전문개정 2008. 3. 21.]

 

 

주택임대차법 갱신요구권인 제6조의3 제3항은 차임 보증금을 '제7조의 범위에서 증감'할 수 있다고 규정하는데

 

그렇다면 7조의 '20분의 1' 범위만 준용하는 것인지,

아니면 차임 증감의 조건인 '사정변경' 까지 필요한 것인지?

 

사정변경 없이 기계적으로 5%씩 인상 가능성 인정하기는 무리일 것으로 보임

 

온주 주택임대차법도 같은 취지인듯

 

갱신되는 임대차는 전 임대차와 동일한 조건으로 다시 계약된 것으로 보지만, 차임과 보증금은 이 법 제7조(차임 등의 증감청구권)의 범위에서 증감할 수 있다(제3항 단서). 인플레이션 등을 감안하여 차임ㆍ보증금의 인상과 임대차의 갱신을 분리한 것이다.
34) 이은희, 상가건물임차인의 계약갱신요구권, 민사법학 제26호, 2004, 138면.
온주 주택임대차보호법 약칭 : 주택임대차법 편저 : 온주편집위원회 / 집필대표 : 황진구

 

'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전 임차인이 한 시설물까지 철거해야? ①원칙, 자신 계약 개시 상태로 회복 / ②이전 임차인의 시설까지 철거하기로 '특약, 합의' 했다면 그것까지 철거 / ③다만, '영업양수' 만으로는 ⓐ이전 임차인 시설물 철거 '합의' 인정x + ⓑ이전 임차인의 원상회복 의무 현 임차인이 '승계' 인정x / ④단 이전 임차인의 '임대차계약 승계 or 임차인 지위 양수' 라면 임대차 개시시점이 이전 임차인 개시 시점이므로 그 때 상태로 회복 : 영업양수 ≠ 임차권양수  (0) 2025.07.03
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 : ⓐ아파트, 연립, 다세대 = 전국, ⓑ오피스텔, 다가구 = 서울, 인천, 경기, 광주광역시만 / 전화상담, 방문상담, 소음측정 서비스  (0) 2025.06.17
신규 임차인 주선, 영업양도 등의 경우 신규 임차인은 갱신요구권 10년 보장일까? 아니면 앞선 임차인이 사용했던 기간은 10년에서 빠질까? = 임차권 양도인지 vs 신규 임대차 계약인지 구분  (0) 2025.06.13
임대차 종료시 임차인의 원상회복의무 지체로 인하여 임대인이 입은 손해는 이행지체일로부터 임대인이 실제로 원상회복을 완료한 날까지의 임대료 상당액이 아니라 임대인 스스로 원상회복을 할 수 있었던 기간까지의 임대료 상당액  (0) 2025.06.11
채권은 양도할 수 있다. 그러나 채권의 성질이 양도를 허용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(민법 제449조 제1항). 그리고 채권은 당사자가 반대의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양도하지 못한다. 그러나 그 의사표시로써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(민법 제449조 제2항).  (0) 2025.06.11

+ Recent posts